동북아를 넘어서 세계로 수출하는 전라남도!
체코 식음료 시장 현황
❍ 시장 규모와 성장세
- 체코의 식음료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유럽 내에서 점차 주목받는 시장으로 부상 (연평균 성장률 5% 이상 전망)
- 체코 식품 시장에서 가장 큰 부문은 육류(약 54억 달러)이며 이어 과자류(약 50억 달러)와 유제품 및 달걀 (약 40억 달러)임
- ‘25년에는 전체 매출의 3.4%가 온라인 판매를 통해 창출될 것으로 예상
- 체코 소비자들은 품질을 중시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을 고려하는 소비 성향을 보임
❍ 소비 트렌드
⓵ 유기농 및 건강 지향 식품 선호 증가
- 유기농 식품 소비가 증가하며, 이는 건강 및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자 의식 변화와 관련 있음
- 유기농 식품시장은 ‘25년 기준 1.9%로 매년 증가 추세이긴 하나 아직 규모가 작은 것으로 보임
- 그러나 ’50년까지 유럽을 기후 중립국으로 만들기 위한 계획인 유럽 그린딜 (European Green Deal)로 인해 유럽 전역과 체코 농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유기농업 확대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
⓶ 현지 생산 및 지속 가능성 강조
- 현지에서 생산된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며, 지역 농산물과 지속 가능한 생산방식에 대한 관심 증대
- 지속 가능한 패키징과 친환경 요소를 갖춘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음
⓷ 건강 및 웰빙 트렌드 확산
- 체코 소비자들은 건강을 중시하며, 설탕이 적고 영양가가 높은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
- 기능성 음료 및 스낵, 저칼로리 제품 등 웰빙을 강조한 식품의 인기 상승
⓸ 과일과 맥주 등 식품 소비의 감소
- 체코 통계청(CZSO)과 Statista에 따르면 ‘23년 인플레이션과 가계 소득 감소로 인해 1인당 식품소비량 감소
- ’12년부터 ‘21년까지는 소비 증가추세가 지속된 반면 ’22년과 ‘23년에는 이러한 추세가 꺾임
- 그럼에도 불구하고 Statista는 향 후 식품 소비 매출 증가 전망
⓹ 높은 수입 식품 의존도에 따른 시장 진출 기회
- ’23년 돼지고기, 과일, 우유, 맥주, 소금 소비량 감소
- 특히 돼지고기 소비량은 평균 41.8kg으로, 전년 대비 2.2kg 감소
- 반면, 같은 해 닭고기, 소고기, 빵, 달걀, 파스타류 소비는 증가해, 식품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가능성 제기
- 통계청(CZSO)에 따르면, 체코의 식량 자급률은 78%로, 여전히 수입 식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
- 이는 해외 식품업체들에게 체코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
❍ 체코의 식품 안전규정과 라벨링 규정
- 체코 식품 시장은 체코의 풍부한 농업 전통과 현지의 지속 가능한 식품 생산에 대한 강한 관심의 영향을 많이 받음
- 이로 인해 현지 생산된 유기농 식품에 대한 수요가 높을 뿐만 아니라 파머스 마켓 문화가 잘 발달되어 있음
- 또한 엄격한 식품 안전 규정과 라벨링 법은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과 투명성을 보장하여 시장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 담당
❍ 체코 식품 인증 라벨 종류
- 클라사 라벨
* 체코 농업부가 고품질 식품 및 농산물에 부여하는 품질 인증 라벨
* 체코산 원산지와 직접적 관련은 없으나 체코 국기 색상을 사용한 것이 특징
* 식품 생산 업체만 신청 가능, 체코 농업부에서 정의한 우수한 품질 특성을 충족해야 함
- 지역 식품 라벨 (Regionální potravina)
* 체코 농업부가 수여하는 품질 인증 라벨. 체코 13개 지역에서 열리는 지역 경연대회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식품과 농산물에 부여
* 원재료 최소 70% 이상이 체코산이어야 하며 주요성분은 100% 체코산이어야 함
- 체코 식품 (Česká potravina)
* 생산지가 체코 공화국이어야 하며, 제품에는 특정 비율의 체코산 원재료가 포함되어야 함
* 가공되지 않은 것은 100%, 가공된 것은 최소 75% 이상의 체코산 재료 사용
- 유럽연합 인증 제도
* PDO(Protected Designation of Origin, 원산지 보호 표시) : 생산, 가공, 조리 과정의 모든 단계가 특정 지역에서 이루어져야 함
* PGI(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, 지리적 표시 보호) : 대부분의 제품에 대해, 최소한 하나의 생산, 가공, 조리 단계가 해당 지역에서 이루어져야 함
* TSG (Traditional Specialty Guaranteed, 전통 특산물 보증) : 라벨은 제품의 독창성, 원산지, 품질을 나타냄
- 유기농 식품을 위한 체코 내 인증라벨
* 체코 농업부가 허가한 3개의 인증 기관 중 하나에서 인증을 받아야 함
* 인증기준은 체코법률(16/2006조항)에 의해 정의됨.
❍ 시사점
- 체코에서는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고 있어, 열처리 가금육의 유럽 수출이 가능해진 시장 환경을 고려할 때 한국산 닭고기 가공품의 체코 시장 확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
- 또한, 체코 소비자들의 빵과 파스타 소비 증가를 감안하면, 한국의 밀가루 기반 가공식품(라면, 떡, 베이커리 제품 등) 역시 성장할 여지가 클 것으로 전망
- 특히 유기농 및 지속가능성 인증을 갖춘 제품이 체코 소비자들에게 더욱 신뢰를 얻을 가능성이 큼
- 따라서 유럽 및 체코의 친환경, 유기농 인증을 획득한 한국 식품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